워드프레스에서 효과적인 이미지 업로드는 사이트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SEO 성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래는 이미지 최적화를 위한 단계별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아래의 작업을 통해 용량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미지 다운로드

Unsplash 또는 Pixabay 등의 고품질 이미지 다운로드 사이트를 활용하여 포스트에 어울리는 적절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합니다. 이를 바로 사이트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사이즈를 경량화하여 업로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미지 크기 조정

photopea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워드프레스에 업로드하기 전에 https://www.photopea.com/ 사이트를 사용하여 이미지 크기를 줄이세요. 특히 이미지 너비는 1,000px 미만으로 설정하여 크기를 줄이도록 합니다.


이미지 파일 형식 변환

towebp


최적화된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려면 https://towebp.io/ 사이트를 활용하여 JPG나 PNG 이미지를 WebP 형식으로 변환하면 파일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WebP는 품질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용량을 대폭 줄여주는 효율적인 이미지 포맷입니다.

사이트에 이미지 업로드

최종 이미지 파일을 관리자 페이지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업로드 합니다. 이 때 대체텍스트(alt text)에 해당 포스트 제목을 입력합니다. 이는 SEO와 접근성을 높이는 데 좋습니다.

마무리

위 단계를 따라 이미지 업로드를 최적화하면 페이지 로딩 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됩니다. 또한 SEO 관점에서 검색엔진이 이미지의 내용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으므로 웹사이트의 검색 순위 향상에 기여합니다.

seo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 엔진에서 사이트와 콘텐츠의 가시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 엔진으로, SEO 최적화를 통해 사이트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SEO는 단순히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더 오래 머물고 재방문하게 만드는 핵심 전략입니다. 이 가이드는 구글이 선호하는 SEO 작업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SEO 작업의 핵심

SEO 작업은 온페이지, 오프페이지, 테크니컬 SEO, 콘텐츠 최적화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작업은 사이트의 전반적인 검색 노출과 트래픽 증가에 기여합니다.

온페이지 SEO

오프페이지 SEO

테크니컬 SEO

구글 페이지랭크의 중요성

페이지랭크란?

페이지랭크(PageRank)는 구글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웹페이지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검색 결과 순위를 매기는 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2016년 이후 공개적으로 페이지랭크 점수를 표시하지 않고 있지만, 알고리즘의 일부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페이지랭크는 웹페이지 간의 연결, 즉 링크의 수와 품질을 기반으로 페이지의 신뢰도와 권위를 판단합니다. 페이지랭크는 웹사이트들 사이의 링크 관계를 순환적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A 페이지가 높은 점수를 가지고 있고, 그 페이지가 B 페이지를 링크한다면, B 페이지도 높은 점수를 얻게 됩니다.

페이지랭크 높이는 전략

구글의 알고리즘 중 하나인 페이지랭크는 사이트의 신뢰성과 권위를 평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페이지랭크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구글이 선호하는 글쓰기 작성법

제목 작성

본문 구성

메타 설명

SEO 친화적인 사이트 구조 설계

URL 최적화

카테고리 구조

내부 링크와 외부 링크

한 게시물에 내부 링크 2개 이상, 신뢰할 수 있는 외부 링크 1개 이상을 포함하세요. 예: "SEO 플러그인 사용법" 글에서 "Yoast SEO 설정 가이드"로 연결.

구글 SEO 모니터링 및 개선

SEO 플러그인

블록 에디터 사용법

블록에디터 위젯
단축키
단축키2

마무리

SEO는 단기적인 작업이 아닙니다. 꾸준히 고품질 콘텐츠를 발행하고, 사이트 성능을 개선하며, 트렌드를 반영하여 최적화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를 참고하여 사이트를 최적화하고, 검색 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되는 블로그를 만들어보세요.

워드프레스 버전 설치

워드프레스와 플러그인 업데이트는 사이트의 보안성과 성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업데이트 과정에서 사이트가 깨지거나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문제를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복원 후 안전하게 워드프레스와 플러그인을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 단계를 따라하면 업데이트 중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1단계: 플러그인 충돌 확인

사이트가 깨지거나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FTP에 접속하여 플러그인 전체를 비활성화한 후 하나씩 활성화하여 문제되는 플러그인을 찾습니다.

FTP로 플러그인 비활성화

문제 플러그인 식별(하나씩 활성화)

문제 플러그인 확인 후

2단계: 데이터, DB 복원(1번 단계 스킵 후)

FTP, 관리자 페이지에서 플러그인 설치가 안되어 1번 단계가 불가능할 경우, 해도 안될 경우 바로 호스팅업체를 통해 데이터와 DB를 복원합니다. 복원 후 화면, 페이지, 플러그인 동작 등이 정상적인지 확인합니다.

카페24의 경우, 나의 서비스 관리 > DATE&DB 복원/백업 메뉴에서 이전의 백업분을 선택하여 복원을 실행하시면 30분 안으로 복원이 되고, 해외 호스팅 업체는 24시간 고객센터를 통해 복원 신청을 하면 30분 안에 작업이 완료 됩니다.

3단계: 워드프레스 버전 업데이트

관리자 페이지 > 대시보드 > 업데이트로 이동하여 워드프레스 자체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합니다. 이 후 사이트 레이아웃, CSS 로딩, 주요 기능을 확인합니다.

4단계: 플러그인 단계별 업데이트

플러그인을 하나씩 업그레이드하며 문제를 사전에 방지합니다.

플러그인 이전 버전 다운로드

5단계 최종 점검 및 백업

모든 업데이트가 완료 되면 최신 상태를 기준으로 수동으로 백업을 생성합니다.

마무리

이번 가이드에서는 워드프레스와 플러그인 업데이트 중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단계별 전략을 살펴보았습니다. 업데이트는 사이트 보안과 성능을 위해 유지하는 작업이지만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항상 정기적인 백업과 테스트를 통해 사이트의 안정성을 유지하세요.

카카오톡은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신저 앱으로,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데 사용되지요. 이번 글에서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카카오톡 아이콘 버튼을 삽입하여 카카오톡 공유하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프로그래밍에 익숙하지 않아도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정리했으니, 함께 살펴보세요!

참고로 예전에는 카카오톡 공유 기능을 카카오스토리 API를 통해 만들었으나 현재 해당 API는 서비스를 중단하였기 때문에 아래 방법을 통한 코드를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준비물

카카오 개발자 센터 앱키

사전에 카카오 개발자 센터에서 가입 후 내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를 통해 앱을 생성합니다.

카카오 개발자 앱키

아래의 두가지 사항을 처리해주세요.

카카오톡 아이콘 다운로드

kakaotalk

위의 아이콘 이미지를 다운로드 합니다.

코드 삽입 플러그인 설치

script 코드 삽입을 위해 코드 삽입이 가능한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제가 추천드리는 플러그인은 Admin and Site Enhancements(ASE) 또는 WPCode-Insert Headers and Footers 입니다. 해당 플러그인을 플러그인 > 새로추가 페이지에서 검색하여 설치, 활성화 작업을 합니다.

카카오톡 공유 기능 구현

버튼 삽입

카카오 버튼 삽입

편집기에서 이미지 위젯을 통해 다운로드한 카카오 아이콘을 업로드 한 후 고급 탭의 CSS ID에 kakao-share-btn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 합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 삽입

<script src="https://developers.kakao.com/sdk/js/kakao.js"></script>
<script>
    // Kakao SDK 초기화
    Kakao.init('Javascript 키');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var kakaoShareBtn = document.getElementById('kakao-share-btn');
        if (kakaoShareBtn) {
            kakaoShareBt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
                Kakao.Link.sendScrap({
                    requestUrl: window.location.href // 현재 페이지 URL
                });
            });
        }
    });
</script>

Admin and Site Enhancements(ASE) 또는 WPCode-Insert Headers and Footers 플러그인을 통해 </body> 태그 앞 부분에 위의 코드를 입력합니다. 카카오 개발자 사이트에서 복사한 Javascript 키만 적용하면 됩니다. 코드 삽입 후 포스트 페이지 내에서 버튼을 클릭하여 카카오톡 앱이 실행되는지 확인하고, URL이 제대로 공유되는지 확인합니다.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카카오톡 공유하기 기능을 간단히 추가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제목, 설명, 이미지 없이도 URL만 공유할 수 있어 구현이 매우 간단하며, 초보자도 부담 없이 시도할 수 있습니다.

SNS를 통한 공유시 들어가는 이미지가 비어있을 경우, 관리자페이지에서 오픈그래프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Rank Math SEO 플러그인을 통해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Opengraph 이미지 적용

플러그인

rank math

워드프레스의 대표 SEO 플러그인인 Rank Math SEO를 설치합니다. 설치하는 방법은 관리자 페이지에서 플러그인 > 새로 추가를 통해 검색하여 설치 후 활성화 합니다.

Open Graph 이미지 업로드

opengraph

Rank Math SEO > 제목 및 메타로 이동하여 페이지 하단의 OpenGraph 섬네일 섹션에서 이미지를 업로드 후 변경사항 저장을 누릅니다. 이 후 SNS로 공유를 하면 해당 이미지가 함께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ank Math에서 사이트 제목, 설명글 설정

워드프레스 SEO 플러그인 Rank Math는 보통 페이지별 편집창에서 SEO 작업를 합니다. 하지만 블로그의 경우, 페이지가 없이 포스트 카테고리별로 사이트를 구성하는 일이 많습니다. 이는 설정 > 읽기에 들어가면 홈페이지 표시가 정적인 페이지가 아니고, 최신 글로 되어있을 경우를 말합니다. 이럴 때 어떻게 Rank Math에서 SEO 작업을 하는지 궁금하시죠. 오늘 이 글에서는 페이지가 없이 카테고리별로 메뉴를 구성하였을 경우, SEO 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Rank Math 카테고리 SEO 설정

rank math 카테고리1

페이지가 없을 경우는, 포스팅의 카테고리를 편집하여 카테고리 SEO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글 > 카테고리 > 해당 카테고리 편집을 통해 카테고리 편집창에 진입합니다.

rank math 카테고리 편집

편집창 하단에 Rank Math 섹션이 위치하여 이 곳에서 스니펫 편집과 포커스 키워드를 통해 키워드와 설명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 포커스 키워드는 아쉽게도 1개만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를 원할 경우, 유료로 업그레이드 해야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ank Math에서 사이트 제목, 설명글 설정
Rank Math에 메타 태그 코드 구글 서치 콘솔 등록

대표적인 워드프레스 SEO 플러그인 Rank Math 플러그인에서 구글 서치 콘솔 메타 태그 코드를 붙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 소유권 확인

워드프레스에서 코드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구글 서치 콘솔에서 구글 소유권 확인에 필요한 메타태그 코드를 복사합니다. 메타 태그 코드는 <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your-id" />의 형식입니다.

Rank Math 플러그인에 메타 태그 코드 등록

rank math 메타태그 입력

알림판 > Rank Math > 일반 설정 > 웹 마스터 도구 메뉴로 이동한 후 복사한 메타 태그 코드를 Google 검색 콘솔 입력창에 붙여넣기 합니다. 하단에 변경사항 저장을 누릅니다.

다시 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로 이동하여 소유권 확인을 눌러 완료 메시지를 통해 연동된 것을 확인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ank Math에서 사이트 제목, 설명글 설정

검색엔진 사이트 등록을 할 때 사이트맵도 같이 추가하여 SEO 최적화 작업을 하는데요. 워드프레스의 경우 Yoast 또는 Rank Math와 같은 SEO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사이트맵 주소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워드프레스 SEO 플러그인인 Yoast에서 사이트맵 주소를 찾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Yoast 사이트맵 주소 찾기

yoast 사이트맵 설정 경로

알림판에서 Yoast > 설정 페이지의 중간에 위치한 API 섹션에서 XML 사이트맵들에서 기능 활성화를 체크합니다. XML 사이트맵 보기 창을 눌러 사이트맵 주소를 학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 주소

새 창으로 사이트맵 페이지가 열려 주소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xxx.com/sitemap_index.xml

사이트맵 주소는 일반적으로 사이트 도메인 뒤에 sitemap_index.xml 로 사용됩니다.

많은 테마 또는 빌더가 자체적으로 breadcrumbs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Elementor에서는 제공하지 않아 Yoast 또는 Rank Math와 같은 SEO 플러그인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Elementor에서 Rank Math 플러그인을 이용해 페이지에서 breadcrumbs를 추가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Elementor에서 breadcrumbs 삽입

Rank Math 플러그인 설치

rank math

플러그인 > Add New Plugin에서 Rank Math를 검색하여 설치 후 활성화 합니다. 해당 기능은 무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ank Math에서 breadcrumbs 활성화

rank math breadcrumbs 설정

Rank Math 검색엔진 최적화 > 일반 설정 > Breadcrumbs 에서 Breadcrumbs 기능을 활성화 해줍니다. 아래 구분 문자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어요.

숏코드 복사

breadcrumbs 숏코드 복사

페이지 내에 Breadcrumbs를 보여주는 방법은 테마 템플릿 파일에서 코드를 복사해거나 숏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간단한 방법은 코드 변경 없는 숏코드 사용입니다.

[rank_math_breadcrumb]

숏코드 붙여넣기

breadcrumbs 숏코드 삽입

해당 페이지 > Elementor으로 편집으로 편집 화면에 들어와 Breadcrumbs를 위치 시킬 영역에 텍스트 편집기 위젯을 추가한 후 복사한 숏코드를 붙여넣기합니다.

breadcrumbs 출력

페이지 발행 후 현재 위치가 잘 나타난 것을 확인하여 마무리 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ank Math에서 사이트 제목, 설명글 설정
Elementor 글꼴, 색상 바꾸기
Opengraph 오픈그래프 썸네일 적용 (Rank Math)

사이트 제작 후에는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을 해주는데요. 검색엔진 내에 나의 사이트의 노출이 잘 되기 위해서는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고 소유권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 구글 사이트 등록과 사이트맵, RSS 제출하는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사이트 등록

구글 서치콘솔에서 속성 추가

서치콘솔 속성추가

구글에서 서치콘솔을 검색하여 사이트로 이동한 후 화면 왼쪽 최상단의 화살표 아래를 클릭하면 아래와 팝업창이 내려옵니다. 여기서 속성 추가를 선택합니다.

소유권 확인

속성 url 입력

소유권 확인 방법에는 도메인과 URL 접두어의 2가지가 있는데 도메인 방식의 경우 FTP에 접속해야하는 번거로움으로 필자는 URL 접두어로 보다 간편한 작업을 선택하였습니다.

URL 입력창에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 후 계속을 누릅니다.

html 태그 입력

<meta name="" .. 으로 시작하는 메타 태그를 그대로 복사한 후 이 코드를 사이트 <head> 태그 사이에 붙여넣기를 해주기 위해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wp code 플러그인

WPCode - Insert Headers and Footers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간편하게 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플러그인을 검색한 후 설치하여 활성화 해줍니다.

code snippets 1

Code Snippets > Header & Footer 의 Header 섹션에 코드를 붙여넣기 해준 후, 다시 좀 전의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로 돌아가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소유권 확인

소유권이 확인됨 알림 메시지를 받으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 제출

사이트맵 추가

사이트 등록이 완료되면 사이트맵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은 구글 서치콘솔의 Sitemaps 메뉴에서 제출이 가능합니다. 워드프레스의 경우 SEO 플러그인에서 자동으로 사이트맵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이 기능을 활용하여 Rank Math 또는 Yoast SEO에서 제공하는 URL을 입력한 후 제출합니다.

Rank Math와 Yoast SEO의 사이트 맵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이트 주소/sitemap_index.xml

RSS 제출

rss 추가

사이트 맵 제출 후에는 같은 위치에서 RSS 피드 URL도 제출합니다. 워드프레스의 RSS 피드 URL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이트 주소/feed

마무리

구글 서치콘솔에서 사이트 등록과 Sitemap, RSS 까지 제출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였습니다. 위의 방법과는 다르게 구글키트라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도 등록이 가능하고, 메타태그의 경우 WP Code - Insert Headers and Footers 가 아닌 Rank Math 등 다른 플러그인을 통해 붙여넣을 수도 있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네이버 사이트 등록하기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를 제작 하였다면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검색엔진최적화 작업이 구글, 네이버 사이트 등록인데요. 이 글에서는 네이버에 소유권 확인 절차를 통해 내 사이트를 등록하고 추가적으로 사이트맵 제출과 robot.txt 수집요청을 통해 내 사이트가 노출이 더 잘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사이트 등록 방법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등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하여 사이트에 진입합니다.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등록

상단의 웹마스터 도구 선택한 후 다음 페이지에서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 후 오른쪽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로운 사이트를 등록하면 아래 목록에 자동 추가 됩니다.

사이트 소유확인

소유확인 진행

소유확인 진행을 선택합니다.

태그 코드 복사

2가지 방법 중 접근이 더 쉬운 HTML 태그를 선택하여 메타태그 코드를 복사합니다.

wp code 플러그인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로 들어가 WPCode - Insert Headers and Footers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활성화합니다.

플러그인 설치하는 방법

코드 붙여넣기

Code Snippets > Header & Footer 선택 후 페이지에서 Header 섹션에 코드를 붙여넣기 합니다.

소유확인

다시 네이버 사이트 소유확인 화면으로 돌아와서 하단에 있는 소유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소유확인 완료 메시지

사이트 소유 확인 완료 메시지를 확인합니다. 이제 네이버 검색 로봇이 내 사이트 정보를 수집하여 검색 노출에 반영합니다.

사이트맵 제출

사이트맵 주소

사이트맵 주소는 Rank Math, Yoast SEO, All in One SEO와 같은 SEO 플러그인에서 자동으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플러그인 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현재 Rank Math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의 경우, Rank Math > 사이트맵 설정에서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사이트 주소/sitemap_index.xml 입니다.

사이트맵 제출

요청 > 사이트맵 제출 페이지에서 사이트맵 주소를 입력한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robots.txt 수집요청

rotots.txt 수집요청

검증 > robots.txt 에서 수집요청 버튼을 클릭하면 txt 파일 정보가 표시됩니다.

웹페이지 수집

웹페이지 수집요청

웹페이지 수집을 꼭 할 필요는 없지만 필자는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를 등록하면 보통 웹페이지 수집 요청까지 해줍니다. 요청 > 웹페이지 수집에서 주소를 입력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시간이 지나면 처리결과에서 수집 결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체크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간단체크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간단체크 결과

마지막으로 사이트 간단 체크를 통해 내 사이트의 제목, 설명문, 로소 차단 여부 등의 기본적인 검색 최적화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 결과를 통해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해결하여 최적화 처리를 하면 되겠습니다.

Rank Math 에서 사이트 제목, 설명글 설정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구글 사이트 등록하기 (서치콘솔)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 중 필수적인 것은 사이트 메타태그에 들어가는 Title(제목)과 Description(설명글)을 입력하는 작업인데요. 이는 Rank Math, Yoast SEO, All in One SEO 와 같은 SEO 플러그인을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rank math

필자의 경우 3가지의 플러그인을 다 사용해본 후 현재는 Rank Math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Rank Math 플러그인에서 사이트 제목과 설명글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Rank Math에서 사이트 제목, 설명글 추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간단체크 결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의 사이트 간단체크에서 사이트 설명, Open Graph 제목과 설명이 없다고 나온다면 이는 사이트 <head> 태그 내에 오픈그래프와 관련된 <meta> 태그가 설정이 안된 것이므로 SEO 플러그인을 통해 설정해야 합니다.

홈페이지 표시 설정에서 최신글로 지정한 경우

최신글

설정 > 읽기에서 홈페이지 표시 옵션을 최신 글로 지정한 경우에는 Rank Math에서 사이트 제목과 설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rank math 설정

Rank Math > 제목 및 메타 > 홈페이지를 선택하여 홈페이지 제목홈페이지 메타설명란에 제목과 설명글을 입력하세요.

홈페이지 표시 설정에서 정적인 페이지를 지정한 경우

정적인 페이지

설정 > 읽기에서 홈페이지 표시 옵션을 정적인 페이지로 지정한 경우에는 해당 페이지 내의 Rank Math에서 제목과 설명을 설정해야 합니다.

페이지 들어가기
페이지 스니펫 편집

페이지에서 해당 페이의 편집을 눌러 편집화면으로 들어갑니다. 화면 오른쪽 상단의 Rank Math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에 Rank Math 설정 화면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스니펫 편집을 선택합니다.

페이지 스니펫

이 화면에서 해당 페이지의 타이틀과 설명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별로 다르게 설정해야 하고, 미입력시 플러그인에서 자동 출력됩니다.

포스트에서 제목, 설명글 입력

스니펫 편집

포스트(글) 또한 페이지에서 설정한 방법과 같이 해당 글 편집 페이지에서 스니펫 편집으로 들어가 제목과 설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글 스니펫
%title% %sep% %sitename%

이런 코드로 되어 있는데 이는 제목 - 구분자(하이픈) - 사이트 제목 형식입니다. 별도로 지정하지 않을 경우 타이틀과 설명이 자동으로 지정됩니다.

코드 확인

메타태그 코드

사이트 제목과 설명을 설정한 후에 개발자화면 모드로 들어가면 <meta name="description"> 과 <meta property="og:title">, meta property="og:description"> 에서 Rank Math에서 지정한 제목과 설명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기본 설정

워드프레스 필수 플러그인 추천

ALL RIGHTS ARE RESERVED.
magnifiercrossmenucross-cir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