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 엔진에서 사이트와 콘텐츠의 가시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 엔진으로, SEO 최적화를 통해 사이트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SEO는 단순히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더 오래 머물고 재방문하게 만드는 핵심 전략입니다. 이 가이드는 구글이 선호하는 SEO 작업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SEO 작업은 온페이지, 오프페이지, 테크니컬 SEO, 콘텐츠 최적화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작업은 사이트의 전반적인 검색 노출과 트래픽 증가에 기여합니다.
페이지랭크(PageRank)는 구글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웹페이지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검색 결과 순위를 매기는 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2016년 이후 공개적으로 페이지랭크 점수를 표시하지 않고 있지만, 알고리즘의 일부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페이지랭크는 웹페이지 간의 연결, 즉 링크의 수와 품질을 기반으로 페이지의 신뢰도와 권위를 판단합니다. 페이지랭크는 웹사이트들 사이의 링크 관계를 순환적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A 페이지가 높은 점수를 가지고 있고, 그 페이지가 B 페이지를 링크한다면, B 페이지도 높은 점수를 얻게 됩니다.
구글의 알고리즘 중 하나인 페이지랭크는 사이트의 신뢰성과 권위를 평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페이지랭크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한 게시물에 내부 링크 2개 이상, 신뢰할 수 있는 외부 링크 1개 이상을 포함하세요. 예: "SEO 플러그인 사용법" 글에서 "Yoast SEO 설정 가이드"로 연결.
SEO는 단기적인 작업이 아닙니다. 꾸준히 고품질 콘텐츠를 발행하고, 사이트 성능을 개선하며, 트렌드를 반영하여 최적화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를 참고하여 사이트를 최적화하고, 검색 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되는 블로그를 만들어보세요.
Elementor는 인기 있는 노코드 페이지 빌더 플러그인으로 코드 개발 없이 웹사이트를 제작하도록 도와줍니다. 이 도구는 드래그 인 드롭 방식으로 웹 페이지의 요소를 배치하고 화면을 꾸밀 수 있습니다.
엘리멘터는 무료 버전과 프로 버전이 있는데 무료에서는 기본적인 웹사이트를 위한 최소한 기능의 위젯만 제공하기 때문에 원하는 사이트를 만들고자한다면 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 글에서는 엘레멘토 프로의 주요 기능과 프로 버전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무료 버전과 비교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위젯 기능 | 무료 버전에서 제공 | 프로 버전에서만 제공 |
---|---|---|
텍스트 편집기 | O | |
이미지 | O | |
비디오 | O | |
버튼 | O | |
이미지 박스 | O | |
헤드라인 애니메이션 | O | |
아이콘 | O | |
아이콘 박스 | O | |
소셜 아이콘 | O | |
이미지 갤러리 | O | |
이미지 카루셀 | O | |
기본 갤러리 | O | |
구글 맵 | O | |
아코디언 | O | |
탭 | O | |
토글 | O | |
소셜 버튼 | O | |
알림 | O | |
프로그레스 바 | O | |
테스트 모듈 | O | |
비디오 플레이어 | O | |
카운터 | O | |
타이머 | O | |
폼 빌더 | O | |
포스트 네비게이션 | O | |
포스트 정보 | O | |
포트폴리오 | O | |
로그인 | O | |
애니메이션 헤드라인 | O | |
가격표 | O | |
카운트다운 | O | |
팝업 빌더 | O | |
메뉴 | O | |
우커머스 위젯 | O | |
다이나믹 태그 | O | |
테마 빌더 | O |
Elementor 글꼴, 색상 바꾸기
Elementor에서 breadcrumbs 삽입
국내 대표 호스팅 업체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곳이 카페24 인데요. 이는 국내 업체 중 고객센터 서비스 잘 되어있고, 단계별 호스팅 요금제와 일반 홈페이지와 워드프레스, 쇼핑몰 등의 여러가지 디자인 템플릿까지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특히, 카페24는 워드프레스 사용자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워드프레스 매니지드 요금제를 제공해, 도메인과 호스팅을 함께 구매할 경우 별도의 설치나 도메인 연결 작업 없이 즉시 워드프레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전용 요금제는 월 500원부터 33,000까지 총 5가지가 있는데요. 가격별로 웹사이트 제작에 들어가는 이미지, 영상, 텍스트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웹용량과 방문자의 허용 트래픽 용량, 도메인 추가 연결 수 등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 필요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 웹사이트를 제작하려는 경우, 월 5,500원의 비즈니스 요금제를 추천드립니다. 비즈니스 요금제 이하일 경우, 웹용량이 1GB로 제한되며, 이미지 몇 장만 올려도 초과될 수 있습니다. 만약 웹사이트가 3페이지 이상이라면 비즈니스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페이지 이사의 사이트나 단일 랜딩페이지는 월 1,100원의 빌드업 요금제를 추천하여 용량이 부족할 경우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요금제 업그레이드는 가능하나 다운그레이드는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카페24 사이트 진입하여 상단의 도메인 메뉴 선택 후 원하는 도메인 URL을 검색합니다.
카페24 웹사이트의 상단 도메인 메뉴를 선택해 원하는 도메인 URL을 검색합니다. 구매 가능한 도메인 리스트를 확인한 후,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하고 1년 단위로 구매합니다. 보통 도메인 가격은 연간 약 2만원 정도이며, 카페24에서는 특가 이벤트로 더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기도 하지만 보다 저렴한 도메인을 찾는다면,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닷홈, 고대디, 네임칩, 패스트코멧 등 국내외 업체에서도 도메인을 구매한 후 카페24 호스팅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라면 네임서버 변경 없이 도메인과 호스팅을 카페24에서 함께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맞은 도메인 소유자 정보를 입력한 후 신용카드, 계좌이체, 무통장, 휴대폰 등 원하는 결제방식을 이용해 도메인을 구입합니다.
일반 호스팅을 구매한 경우, 워드프레스 설치를 수동으로 해야 하며 연간 약 3.5만원의 SSL 인증서 비용이 추가됩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워드프레스 전용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일반 호스팅으로 구매했다면, 취소 및 환불 후 전용 요금제를 다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카페24 호스팅 페이지에서 상단 메뉴의 워드프레스 > 빌드업 또는 비즈니스 요금제 신청하기를 선택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계정 정보는 호스팅 구매 시 입력한 카페24 아이디와 함께 FTP 및 DB 비밀번호로 구성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비밀번호는 기본적으로 DB 비밀번호와 동일하므로, 안전하게 별도로 저장하거나 기록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비밀번호를 분실했다면, 카페24 호스팅 센터에 로그인해 DB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사이트 초기화를 해야 합니다.
호스팅을 1년 단위로 구매하면 10% 할인 혜택이 있으며, 계약 만료 시 이메일이나 문자로 갱신 알림을 받게 됩니다. 워드프레스 전용 요금제를 구매할 때는 추가 설치비용 1.1만원이 발생합니다.
도메인 선택에서는 카페24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선택하거나 보유 도메인 주소를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아직 구매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후 ‘나의 서비스 관리’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결제가 완료되면 하단의 어드민 페이지 링크를 통해 관리자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페이지 주소는 기본적으로 도메인/wp-admin 형식입니다. 아이디는 카페24에서 사용한 계정을, 비밀번호는 FTP 및 DB 비밀번호를 사용합니다.
워드프레스 도메인과 호스팅으로 가성비를 중요시한다면 가장 먼저 추천하는 호스팅사는 해외호스팅사인 FastComet 입니다. 서버는 해외에 위치하지만 국내 업체에 비하여 제공하는 기능이 많으면서 가격은 저렴하고, 웹호스팅 컨트롤 panel인 cPanel을 이용하여 접근이 자유롭고, 24시간 서비스의 질이 압도적으로 좋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문제가 생겼을 때마다 하단의 채팅창을 이용해 매우 빠르게 해결할 수 가 있어서 개인적으로는 현재 기준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외국 호스팅업체입니다.
저번 시간에 FastComet에서 SSL 적용 후 WordPress 설치하는 방법까지 안내해보았는데요. 오늘은 요금제 가격과 가입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요금제의 경우, FastCloud Basic, FastCloud Plus, FastCloud Extra 세 가지 요금제가 있고, 가격은 Basic 요금이 가장 저렴합니다. 가격의 경우, 항상 일정하지 않고, 이벤트를 자주하기 때문에 다르다는 것 참고해주세요. 처음 구매하는 분들을 위해 보통 80%에서 85%를 진행 중이라 월 1불-4불 사이이고, 첫 구매 이후에는 월 10불 - 20불 사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플랜을 사용하실지 고민이 되신다면 베이직 요금제로 사용하시다가 용량이 부족하시면 업그레이드 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의 경우, 홈페이지와 블로그 호스팅을 모두 베이직 요금제로 사용 중입니다.
주로 구매하실 베이지과 플러스 요금제를 비교해보자면 베이지의 경우 한개의 사이트만 발행이 가능하지만 플러스는 사이트의 수가 제한이 없습니다. SSD 용량의 경우, 베이직이 15GB 플러스가 25GB, RAM은 각각 2GB, 3GB 입니다. 모두 무료 SSL 적용이 가능하고, 다행스럽게도 45일 안으로 환불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부담없이 구매한 후 테스트도 가능합니다.
위의 링크로 진입한 후 회원가입을 진행한 후 PLANS & PRICING 버튼을 선택합니다.
위에서 요금제를 선택하세요.
사용할 도메인 URL 미리 검색하여 구입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이미 사용중인 도메인의 경우, This domain is already registered 라는 알림 문구가 나오고, 대체할만한 다른 도메인 주소를 알려줍니다. 1년 도메인 가격은 대략 10불에서 15불 사이이고, 한번 구매 후 매년 갱신을 해주면 됩니다.
첫 구매의 경우, Account Information 을 입력합니다. 이메일과 비밀번호, 이름, 주소, 연락처를 기입해주세요. 기존 고객일 경우,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호스팅 구매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Plan은 요금제 종류, Datacenter Location의 경우 가장 가까운 도쿄, 일본이 자동 선택되어 있습니다. Period의 경우 12months로 선택하면 1년간 80%(약정된 할인율)의 할인을 제공받게 됩니다. 가격 설정 하단 문구에 최초 할인의 경우, 첫번째 인보이스에만 적용이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1month만 신청하는 바람에 두번째 달부터 정가를 납부해야하는 큰 실수를 범했습니다. 45일 안에 환불이 가능하므로 12개월로 지정하시고 결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서버 위치는 미국, 유럽, 아시아에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도쿄이니 그대로 냅두면 되고, 기간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2months 이상으로 지정해주세요.
하단 Extras에서는 맨 위 Domain Registration만 체크해주세요. 나머지는 불필요합니다.
할인적용된 최종 금액을 확인하고 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PLACE ORDER 클릭하면 도메인과 호스팅 구매가 완료됩니다.
구매 후 FastComet 관리자 페이지에서 구매한 내역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고, cPanel을 이용해 SSL 적용과 워드프레스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